21년 3월 17일
코드스테이츠 부트캠프 14일차
Week2 Sprint Challenge
오늘의 나를 뒤돌아보며,
사실 (Fact): 수업 때 배웠던 내용과 달리 데이터 값이 문자로 되어있어서 당황을 했고 접근을 어떻게 해야할지 고민했다.
느낌 (Feeling): 데이터 값이 수치상으로 표현하는 것이 아닌 스트링 형태로도 있을 수 있음을 알게되었다.
교훈 (Finding): 스트링 형태 사이에서도 데이터 분석을 할 수 있음을 구글링을 통해서 알게되었다. 텍스트 분석 !!!!
향후 행동 (Future Action): 텍스트 분석이라는 것을 알게됐으니 시간 짬내서 공부를 할 것이다. 최소한 문자로 되어있는 데이터를 봐도 당황하지 않고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도록 노력하자.
한 주를 되돌아보며
데이터 전처리란 무엇인지 다시 찾아보기
t-test 개념 다시 공부, 카이제곱검정
데이터 결측치 확인
ANOVA(분산분석) 개념 공부하고, 코드 사용법 공부
카이제곱의 귀무가설은 연관이 없다!!
1
2
3
|
df.isnull().sum()
df에 결측치 개수를 알 수 있다.
|
cs |
'개발 관련자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Bayesian 베이즈 정리 (0) | 2021.04.01 |
---|---|
Confidence Interval (신뢰구간) (0) | 2021.04.01 |
chi square test (카이제곱 검정) (0) | 2021.04.01 |
Hypothesis Test (가설검정) (0) | 2021.03.22 |
Data Visualize (데이터시각화) (0) | 2021.03.21 |